728x90
반응형
1, 뉴스에서 연일 방송되었던 빈 살만!
우리나라 내로라 하는 경제인들이 모든 일정을 보류하고 만나며,
대통령까지 들썩이게 만드는 그는 대체 누구인가!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43.gif)
2. 아 어제 7시쯤 다 준비해놓고서, 방한 전에 포스팅 쓰려다가 귀찮아서 넘겼는데,
제 귀찮음이 뭐라고 이런 큰 이슈를 놓쳤을까요. 제 귀찮음은 아무것도 아닌데!!!!!
기업 총수들도 저렇게 전날 연락받고 가는데!!!!!!!!!!!!!!!!!!!!!!!!!!!!!!
어제의 나 통탄하고 반성합니다.
늦는게 안하는것보다 낫다는 생각으로 부랴부랴 올리는 빈 살만과 네옴시티
그리고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여파 입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37.gif)
3. 대한민국이 아주 들썩 들썩 했습니다요.
기업 총수도 아닌 말단 나부랭이도 설레는데
기업 오너들에게 '너 꿈이 뭐니?' 묻는 빈 살만님 ㅋㅋㅋㅋㅋㅋ완전 듀근거렸을거 같아요 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7일 오후 4시 30분,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 속속 도착했다. 이날 새벽 방한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를 만나기 위해서였다. 당초 삼성그룹이 중심이 돼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 부회장까지 4개 그룹 오너만 만나기로 했는데, 이재현 CJ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이해욱 DL그룹 회장, 정기선 현대중공업그룹 사장도 뒤늦게 초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저녁 참석 요청을 받은 총수들은 “명색이 20대 그룹 총수인데 하루 전날 부르다니 놀랍다. 그래도 안 갈 수 있느냐”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재용형님이 빈 살만과 가장 친하다 하십니다...) 삼성·SK·현대차·한화·현대중공업·CJ·두산·DL그룹의 자산 총액은 1277조원(올 4월 공정위 발표 기준). 빈 살만 왕세자의 추정 재산은 2조달러(약 2688조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https://blog.kakaocdn.net/dn/JQhNG/btrRtTPI8YA/IupXENQdU9x9C8xskh1Ta0/img.jpg)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오른쪽)가 1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국내 기업 총수와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2022.11.17 /사우디아라비아 국영매체 SPA 홈페이지 캡쳐.© 제공: 조선일보
◇빈 살만 “수소에너지·방산·네옴시티 분야에서 한국 기업과 협력 기대”
국내 주요 그룹 총수와 빈 살만 왕세자의 차담회는 당초 예상했던 오후 6시를 훌쩍 넘긴 오후 7시쯤 끝났다. 주요 그룹 총수들은 오후 5시쯤 사우디아라비아 주요 장관들과 사전 회담을 한 뒤, 오후 6시 10분쯤 빈 살만 왕세자를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롯데호텔 15층에서 코로나 검사를 하고, 두 번의 검색대를 통과하며 휴대전화도 맡긴 뒤 30층에서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을 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참석자는 “빈 살만 왕세자가 자신의 비전을 이야기하며 협력을 요청하는 자리였다”며 “각 참석자에게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하고 싶은 사업과 그와 관련한 애로사항을 일일이 질문했다”고 말했다.
![](https://blog.kakaocdn.net/dn/TrTL7/btrRuovapR1/XQgvfFZnc9L7siy9BlzyG1/img.jpg)
빈 살만 왕세자는 이 자리에서 “비전 2030 실현을 위해 한국 기업과 협력을 강화해나가고 싶다”며 에너지, 방위산업, 인프라·건설 세 분야를 특히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빈 살만 왕세자는 2017년 집권 이후 석유에 의존해온 사우디 경제를 문화·첨단기술·제조업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비전 2030′ 전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수소에너지 개발, 탄소 포집 기술,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과 원전 인력 양성에 관심이 많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또 사우디 국방 역량 강화를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협력에 대해서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재계에서는 최근 에너지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되면서, 석유 부국 사우디아라비아의 실권자인 빈 살만 왕세자의 영향력이 더 막강해진 것 같다는 분석이 나왔다. 2019년 방한 당시만 해도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현대중공업 사장은 각각 빈 살만 왕세자와 개별 면담도 진행했지만, 이번에는 단체 회동에 8명의 그룹 총수를 불러모았다는 것이다. 빈 살만 왕세자는 회담 직후인 저녁 7시 30분쯤 롯데호텔을 떠나 전용기 편으로 태국으로 향했다.(이야 쉬지도 않고 또 일하러 ㄷ ㄷ ㄷ )
◇사우디·한국 기업… 조 단위 MOU 체결
빈 살만 왕세자와 한국 대기업 회장들의 회동에 앞서, 한국과 사우디 양국은 에쓰오일 2단계 석유화학 프로젝트, 네옴 신도시 철도 협력을 포함한 26개 투자 협약(MOU), 계약을 맺었다. 특히 사우디 국영 아람코 자회사인 에쓰오일은 9조2580억원 규모 ‘샤힌(Shaheen·매라는 뜻)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샤힌 프로젝트는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롯데건설과 함께 내년부터 3년여에 걸쳐 울산에 대규모 석유화학 공장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국내 단일 사업으로는 역대 최대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다. 건설 기간 하루 최대 일자리 1만7000개를 창출하고 울산 지역 건설 업계에 끼치는 효과는 3조원 이상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그룹 계열 현대로템은 사우디가 건설 중인 네옴시티 내 총 245㎞에 달하는 철도에 투입될 고속철 480량, 메트로 전동차(지하철) 160량, 전기 기관차 120량 공급을 추진하는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내년 6월 최종 낙찰자로 선정되면 최대 수주 규모는 고속철(2조5000억원), 전동차(4800억원), 기관차(6500억원) 등 총 3조6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삼성물산과 한국전력 등 5사는 사우디국부펀드(PIF)에서 자금을 조달, 그린수소·암모니아 사업에 나서기로 했다. 사우디 현지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연 120만t 규모 그린수소·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것으로 사업 규모가 65억달러(약 8조7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동붐
국내 건설사들이 중동 산유국에 진출, 각종 토목·건설 공사를 수주하며 오일머니를 벌어들인 시기를 말한다. 1973~74년부터 중동에 진출하기 시작한 우리 기업의 중동 지역 수주액은 1981년 127억달러(약 17조원)로 급증했다. 건설 업계에서는 1976년부터 1983년 사이를 중동붐에 힘입은 우리 건설 업계의 확장기로 본다. 8년간 중동 지역 건설 수주액은 607억달러로 이 기간 전체 해외 수주액의 92%를 차지했다.
4. 네옴시티 관련 종목들입니다. 미리 들어갔어야 하는데, 늦었져 ...ㅋㅋㅋㅋㅋ
철도 : 알루코, 현대로템, 부산산업, 대아티아이
탄소포집 : KC코트렐, KC그린홀딩스
수소트램 : 화승코퍼레이션, 지엠비코리아, 화승알앤에이, 디케이락, 현대로템
모듈러 : 에스와이, 덕신하우징, 금강공업
메타버스 : 에이트원, 엠게임
건설 : 한미글로벌
수소에 우리 브이티지엠피도 있고, 건설에 일성건설, gs건설도 있는데...
내 종목들은 왜 네옴시티 참여 안해....
정말 엄청난 규모의 mou입니다.
당장 내년만 해도 경제성장 전망치 암울 그 자체였는데 ㅠㅠ
이정도 규모의 체결이 진행되면 기업에도 훈풍, 고용도 늘어나고, 외화도 많이 벌어오고, 경제에 굳 영향이 오지 않을까요 ㅠㅠ
오일머니 너모너모 부럽다
가진게 인재 뿐이라, 사람 키워서 실력으로 돈 벌어오는 대한민국 ㅠㅠ 살기 쉽지 않다
어제 카타르 월드컵 하기 전 모습 보니까 카타르 무슨 신세계임 ㄷ ㄷ 진짜 멋져요 ㅠㅠㅠ
네옴시티 건설되면 트로제나 너무 가고 싶어요 ㅠㅠㅠ
카타르 보면서 아 저기서 살고 싶다 생각했는데, 새로 짓는 네옴시티는 월매나 멋질겨...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23.gif)
5. 어제 나스닥이 좋지 않은 출발로 위태위태 하다가 장 마치기 전쯤 수급이 들어오면서 그래도 잘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국장이 시작은 좋았는데, 오늘 하루 어떻게 흘러가게 될지요
제 2의 중동의 봄과 함께 제 계좌에도 봄이 오기를-
반응형
'램어 부의 지도 > 일상경제관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크, 호텔은 더 비싸게, 이마트는 더 싸게! 올 크리스마스 승자는? (9) | 2022.11.30 |
---|---|
밀크플레이션(milk-flation) 뜻, 빵순이의 해결책은? (6) | 2022.11.21 |
컨셉인가, 찐인가! 머스크, 자신의 의견에 반박한 트위터 엔지어 당일 해고 (11) | 2022.11.16 |
바이든-시진핑, 두 정상의 만남과 대한민국에 미칠 여파 (7) | 2022.11.15 |
일본이 따라하는 한국의 ****! 이제 편의점도 K-편의점이 대세다! (7) | 2022.11.14 |
댓글